우리집 뒷마당에는 산뽕나무가 자라고 있다.
발육이 너무 좋아 가지가 뒷마당을 거의 다 덮어버릴 정도라서 작년에 대대적인 가지치기를 단행했다.
그랫더니 올해에는 놀랄 만큼 많은 오디가 달렸다.
작년까지 왜 이렇게 잘 자라는 나무에 열매가 맺히지 않는지 궁금했었다.
이 나무는 집짓기로 인한 옮겨심기나 강전정도 겪지 않았다.
따라서 올해의 과일 풍년은 작년의 가지치기 말고는 설명이 되지 않는다.
올해는 이상하리만큼 선녀벌레가 보이지 않는데, 이점도 한 이유가 될것 같다.
아무튼 올 6월초부터 앵두나무와 비슷한 시기에 야생의 산뽕나무 오디가 풍성하게 열렸다.
기쁜 마음도 잠시, 약 20일 동안 계속해서 쏟아지는 열매를 어떻게 하나.
따고 줍던가 아니면 버리는 수밖에 없다.
전원주택의 삶은 몸이 엄청 힘들다고 사람들은 말한다.
사실이다.
다만 좀 더 정확히 말하면 더 많은 것을 누리기 때문이다.
아파트에 살면 야생의 유기농 오디를 구하기 어렵거나 돈 주고 사야한다.
몸은 편하지만 누리는 것도 적다.
하지만 나는 공짜로 이 좋은 품질의 오디를 뒷산에서 마음대로 구할 수 있다.
다만 완전히 공짜는 아니다.
내 노동이 들어가기 때문이다.
나는 올해 이 시기에 잠을 줄여야 할 만큼 정말 바빴는데 날마다 바닥에 떨어지는 오디가 아까워서 나름 최선을 다해 수확에 공을 들였다.
2주 동안 거의 날마다 한 바구니씩 땄다.
이 많은 오디로 뭘해야 하나?
복준자주를 담글까 생각도 했지만 난 단술은 정말 싫어한다.
그래서 결국 선택은 오디잼.
산뽕나무는 독성이 없어 열매, 줄기, 잎, 뿌리까지 다 식용이나 한약재로 쓴다고 한다.
그래서 오디꼭지를 굳이 제거하지 않았다.
처음에는 한께 따 둔 앵두가 있어 함께 잼을 만들어 보았다.
나쁜 판단이 아니었다.
앵두는 수분이 많고 오디는 적다.
그래서 같이 끓이니 상당히 괜찮은 잼이 되었다.
다만 문제는 앵두씨다.
나중에 씨를 걸러내기 어렵기 때문에 앵두의 비중을 적게하고 씨는 잼을 먹을 때 발라내는 것이 좋다고 판단했다.
이렇게 첫 수제 오디앵두잼이 탄생했다.
이후에는 오디로만 잼을 만들었다.
앵두씨를 발라먹는 것이 귀찮기 때문이다.
이번 6월에는 제법 많은 오디잼을 만들었다.
그래서 가족과 지인에게 선물로 주기도 했다.
보람이 컷다.
하지만 쪼그리고 앉아 일을 많이 하다보니 다리 인대에 무리가 와서 한의원을 다녀야 했다.
한의사 왈 “쪼그리고 앉아 일하면 절대 안되요”
그렇게 안 좋은 줄 몰랐다.
귀찮으면 아무일도 하지 않으면 된다.
하지만 권태는 정신을 좀 먹는다.
그래서 인간은 또 산을 오른다.
누가 등을 떠 미는 것도 아닌데.
'전원생활의 맛'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살구나무 열매 2019 (0) | 2019.07.07 |
---|---|
수제 앵두잼 만들기 (0) | 2019.06.17 |
6월 초 자연의 선물: 앵두 (0) | 2019.06.05 |
봄 2019 - 배나무와 자두나무 (0) | 2019.05.12 |
봄 2019 - 라일락 (0) | 2019.05.12 |